본문 바로가기
논문으로 보는 육아/환경

배앓이(영아 산통) 아기를 가진 부모들에게: 배앓이의 영향과 그 이후

by 행복한 유아교육 2023. 5. 26.

안녕하세요. 혹시 아이가 저녁에 자지러지게 울지 않나요? 낮에는 아무렇지 않아 보이지만 밤만 되면 신생아가 자지러지게 울고 쉽게 그치지 않는 현상이 있는데요. 바로 배앓이, 영아 산통이라고 하는 현상입니다. 배앓이는 신생아의 과도한 울음으로 나타나는 상태로, 부모들에게 큰 스트레스와 피로감을 줍니다. 분유를 바꿔보거나 트름을 많이 시켜주어도 배앓이는 쉽게 그치지 못하는데요. 이런 배앓이를 하게 되면 우리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크게 주거나 발달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가? 라는 걱정이 절로 듭니다. 오늘의 연구는 이에 관한 논문입니다.

 

핵심 내용은, 배앓이는 대개 아기가 3개월이 되면 자연스럽게 사라지며, 대부분의 아기들은 정상적인 발달을 보입니다. 하지만, 이 경험은 부모와 아이, 그리고 가족 간 관계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들에게는 전문가의 지원과 교육, 그리고 가족과 친구들로부터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 배앓이(영아 산통)이란?

영아 산통은 지속적이고 설명할 수 없는 울음 으로 나타납니다 . 이 경우 주기적이고 과도한 활동; "진정성"이 감소했습니다. 복통은 일반적으로 영아가 생후 약 2~3주일때 나타나며 약 6주에 강도가 최고조에 달하고 영아가 생후 3~6개월이 될 때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 배앓이는 전체 영아의 약 15~25%에서 발생하며 성별과 모든 인종, 민족,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동등하게 발생합니다( Clifford, Campbell, Speechly, & Gorodzinsky, 2002 ; Keefe & Froese-Fretz, 1991; Lehtonen & Rautava, 1996 ).

 

핵심정리

1. 신생아의 배앓이: 신생아의 배앓이는 부모에게 큰 스트레스를 주며,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지원의 중요성: 가족이나 친구들로부터의 지원은 배앓이를 겪는 부모가 그 상황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3. 부모의 피로와 정서적 힘듦: 배앓이기에 지속되는 울음은 부모에게 피로감을 유발하며, 때로는 죄책감, 우울감, 분노감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4. 정상적인 발달: 배앓이를 겪은 후에도 아이들은 정상적으로, 또는 예외적으로 발달하며, 그들의 건강이나 미래의 지능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 영향받은 가족 관계: 부모와 아이 사이의 관계가 배앓이 이후에도 계속해서 불만족스러울 수 있지만, 대부분의 부모는 아이와의 관계가 긍정적이라고 느꼈습니다.

 

6. 전문가 도움의 필요성: 일부 가족은 배앓이가 지속될 경우 심리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며, 새로운 부모들에게는 배앓이에 대한 교육과 미리 준비하도록 교육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7. 잔여 감정에 대한 주의: 배앓이가 사라진 후에도, 배앓이 기간 동안 겪었던 감정들은 가족 구성원들에게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아이가 아프지 않고 편안하기만 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논문내용

공복증은 신생아의 과도한 울음으로 나타나는 상태로, 부모들에게 큰 스트레스와 피로감을 줍니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은 대개 아기가 3개월이 되면 자연스럽게 사라지며, 대부분의 아기들은 정상적인 발달을 보입니다. 하지만, 이 경험은 부모와 아이, 그리고 가족 간 관계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들에게는 전문가의 지원과 교육, 그리고 가족과 친구들로부터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 공복증 후 아이와 부모 간의 관계에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이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보고합니다.

- 가족과 친구들로부터의 지원이 아이의 공복증 기간 동안 부모들이 이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공복증은 부모들에게 피로감, 죄책감, 우울증 등을 느끼게 하지만, 이런 감정들은 전문적인 지원과 교육을 통해 관리될 수 있습니다.

- 공복증 후에도 아이들은 "행복하고, 건강하며, 매우 똑똑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이들의 장기적인 건강 문제를 보고하지 않았습니다.

- 공복증을 겪었던 아이들이 나중에 우수한 학업 성과를 보이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는 아이들이 공복증 이후에도 뛰어난 발달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apa : Ellett, Marsha, Emilie Schuff, and Jennifer B Davis. "Parental Perceptions of the Lasting Effects of Infant Colic." MCN,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30.2 (2005): 127-32. We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