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으로 보는 육아/성장

부모의 참여에 따른 아기의 성격과 특성!

행복한 유아교육 2023. 9. 16. 17:11

👩👧👦  안녕하세요! 혹시 아기의 성격은 언제 형성이 될까요?! 저희 둘째가 요즘 100일이 조금 넘었는데, 조금씩 성격이 생기고 있는 거 같아요 :) 의사표현도 많이하고, 안아달라고 징징거리기도하고.. 다들 비슷하시죠?!

 

첫째때는 그냥 흘려보낸 시간들이었는데,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이 100일 언저리의 시간들이 정말 아이의 성격 형성에 중요한 시기더라구요. 첫째 때, 처음의 수개월은 아기와 어떻게 상호작용해야 할지 모르는 시간이었어요. 그런데, 저와 아기와의 상호작용이 아기의 성격 발달에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되었죠. 아기와 많은 시간을 보내며, 그들의 감정과 반응을 지켜보면서, 어떤 활동이 그들에게 좋은 영향을 미치는지 체감했습니다. 😊

 

오늘은 엄마, 아빠가 아이와 놀아주는 것이, 아이의 성격과 자기조절능력 형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문을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논문은 오랜만이죠! 한 번 볼까요!

 

apa : Letitia E. Kotila,corresponding, Sarah J. Schoppe-Sullivan, and Claire M. Kamp Dush(2014). Infant Characteristics and Parental Engagement at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Infant Behav Dev. Author manuscript; available in PMC 2015 Nov

 

결론부터 말씀드릴게요!📚 연구에 따르면엄마의 참여는 아기의 노력적 통제(자기조절 능력)의 향상과 부정적 감정의 감소에 기여했어요. 반면 아빠의 참여는 아들의 부정적 감정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답니다. 즉, 아빠의 참여가 높을 수록 아이의 부정적 감정이 높대요! 헉..!또한, 아기의 성별에 따라 엄마와 아빠의 참여 방식에 차이가 있었어요. 특히 아들에게는 아빠의 참여 방식이 더 중요하게 작용했습니다. 이 모든 발견은 신생아 초기의 부모와 아기 사이의 상호작용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것 같아요! 💖

 

이게 어떤 내용인지 감이 안오실 수 있는데! 아래 핵심 내용을 다시 한 번 봐주세요 :)

 

핵심내용

1️⃣ 신생아의 기질(성격)과 엄마의 참여 사이에는 깊은 상호작용이 있습니다.

 

2️⃣ 엄마의 활발한 참여는 아기의 노력적 통제(자기조절 능력)의 향상에 기여합니다.

 

3️⃣ 엄마의 참여는 아기의 부정적 감정의 감소에도 도움을 줍니다.

 

4️⃣ 아빠의 참여는 아들의 부정적 감정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5️⃣ 아기의 성별에 따라 부모의 참여 방식과 그 영향에 차이가 있으며, 아들에게는 아빠의 참여 방식이 더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즉, 엄마의 참여는 어떤 방식으로든 아이의 자기조절능력 향상과 부정적 감정을 감소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해요! 엄마가 재미있게 놀아주고 상호작용하는 것은 아이에게 무조건 좋아요!

 

다만, 아빠가 딸과 놀아주는 것은 그렇게 큰 상관관계가 없다고 하네요 :) 반면, 아들과는 많이 놀아주면 부정적 감정이 커진대요! ㅠㅠ 연구에서도 원인은 명확하게 밝히지 못하지만, 아빠가 아들과 놀아주는 방식이 과하면 부정적 감정이 커지지 않을까? 라는 추측만 하네요! 

 

아빠도 그렇다고 상호작용과 놀이를 줄이면 안돼요! 아들과는 장난이 과하지 않게 잘 놀아주고, 딸과는 말도 많이 해주면서 놀아주세요 ㅎㅎ:)

 

연구내용

우리의 연구는 영아의 기질과 부모의 참여 간의 연관성에 대한 지식을 확장시키기 위해 첫 아이를 갖는 부모의 최근 샘플에서의 거래와 조절 모델을 검증하였다. 긴장된 종단 연구 모델을 통해, 어머니들의 참여가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아이들의 노력적 통제 능력 향상에 중요하게 기여하였으며, 아이의 성별에 관계없이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아버지들의 참여는 아이의 특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아기의 성장기는 발달의 빠른 시기로, 이 시기 동안 자주적이며 활발한 참여는 어머니들이 조절 기술을 촉진하는 경로일 수 있다. 반면, 아버지들의 참여는 영아의 기질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 결과 아버지가 아이들과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어머니보다 적게 참여하였을 가능성과 아버지가 아이들과 다른 방식으로 상호작용하였을 수도 있다는 두 가지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우리는 어머니들의 영아에 대한 부정적 기질 평가가 아이의 성별에 민감하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그러나 어머니들이 아이들의 부정적 기질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성별 차이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어머니들의 참여와 영아의 노력적 통제 사이에 양방향적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아기들의 뇌 발달을 연구하고 전두엽 같은 영역에서의 성장을 촉진하는 중요한 활동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엄마와의 상호작용은, 아이의 성장에 결정적이에요!
결론

우리의 연구 결과는 세 가지 중요한 함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어머니들의 참여가 영아의 기질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 둘째, 아버지들의 참여가 아들의 부정적 기질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 그리고 셋째, 어머니와 영아의 노력적 통제 사이에 초기 상호작용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와 아이의 특성이 아이의 기질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확실히 아이를 성장시키는 데에는, 엄마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정말 많이 느껴요.
 
아이가 안아달라고 울고, 지루하다고 징징거릴 때마다 사실 조금 힘이 벅차기도 하죠? 저도 그래용 ㅠㅠ
그래도, 엄마의 사랑과 엄마의 말 한 마디가 우리 아들, 딸을 똑똑하고 행복하게 만든다는 마음으로,
조금만 힘내요! :)
반응형